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오늘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모은 가운데 코스피 시장에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었습니다. 금융시장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보셨을 '서킷브레이커'란 용어, 하지만 그 정확한 의미와 역할에 대해 자세히 알고 계신가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킷브레이커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오늘 코스피 시장에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된 배경, 역사, 시장상황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의 소중한 돈을 지키자고요!

     

    서킷브레이커?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는 주식시장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가격 변동이 발생할 경우, 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을 완화하고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거래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안전장치입니다. 이는 주식시장의 혼란을 막고, 투자자들이 냉정하게 상황을 판단할 시간을 제공하여 추가적인 패닉 매도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서킷브레이커는 보통 지수의 특정 비율 이상 하락했을 때 발동되며, 각국의 주식시장마다 그 기준과 적용 방법이 다릅니다. 한국의 경우,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각각 1단계, 2단계, 3단계의 서킷브레이커가 존재하며, 지수가 8%, 15%, 20% 이상 하락할 경우 단계적으로 발동됩니다.

    반응형

     

    서킷브레이커의 중요성

    서킷브레이커 제도는 1987년 미국의 블랙 먼데이(Black Monday) 사태 이후 도입되었습니다. 당시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가 하루 만에 22.6% 급락하면서 전 세계 금융시장이 큰 혼란에 빠졌습니다. 이를 계기로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후 서킷브레이커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서킷브레이커는 주식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을 줄이고, 투자자들이 심리적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주식시장의 안정성을 높여 장기적인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데 기여합니다.

    오늘(8.5.) 코스피 시장에서는 글로벌 경제 불안과 함께 국내외 악재가 겹치며 급락세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의 패닉 매도가 이어지며 지수가 급격히 하락, 결국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었습니다. 이는 최근 국제 유가의 급락, 미중 무역 갈등 심화, 코로나19 재확산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서킷브레이커 발동 후, 시장은 잠시 숨을 고르며 투자자들에게 냉정하게 상황을 분석하고 대응할 시간을 제공하였습니다. 이는 추가적인 시장 혼란을 방지하고, 투자자들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습니다.

     

    서킷브레이커 발동 역사(총 6회) 및 이유

    2000년 4월 17일, 미국증시의 폭락과 IT 버블 붕괴로 첫 번째 서킷브레이커가 코스피 시장에 발동하였습니다.

    2000년 9월 18일, 대우자동차 인수 무산 및 현대그룹 유동성 위기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었습니다. 

    2001년 9월 12일, 2001년 9월 11일 발생한 미국의 9/11 테러의 여파로, 다음 날 한국 증시가 급락하였습니다. 이때 코스피 지수가 12.02% 하락하며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었습니다. 당시 시장은 엄청난 충격을 받았고, 이를 통해 서킷브레이커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2020년 3월 13일 코로나19 팬데믹의 시작으로 글로벌 주식시장이 패닉에 빠졌던 시기, 코스피 지수가 8.14% 하락하며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었습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충격과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을 반영한 것입니다.
    2020년 3월 19일 코로나19 사태가 심화되면서, 또 한 번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었습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8.39% 하락했습니다. 두 번의 서킷브레이커 발동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불확실성과 공포가 얼마나 컸는지를 보여줍니다.

     

    그리고 역사의 한 페이지가 된 오늘...

    2024년 8월 5일

    미국의 경기 침체 전망으로 뉴욕 증시가 하락하면서 아시아 주요 증시도 흔들리고 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내년 미국의 경기 침체 가능성을 15%에서 25%로 높이고, 연준이 금리를 내릴 것으로 전망

     

    주식 시황 브리핑

    많은 언론 기관에서 오늘의 서킷브레이커 관련 많은 기사와 뉴스가 방송되고 있습니다. 관련 기사를 언론 자료를 들으면서 미국 및 한국의 주식 시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폭락이 왔다고 공포에 투매를 하는 것은 좋지 않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기업의 가치를 보고 시황을 차분히 파악하신다면 현명하게 헤쳐나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래 관련 링크를 클릭하여, 현재 전문가들의 분석 의견을 시청하시면서 상황을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